기본기

1. 밭 만들기 (밭정리)

밭을 가는 이유?
산소가 들어가게 되어 토양에 이로운 생물의 번식이 향호해지고 땅의 물리성이 부드러워져 작물의 뿌리가 쉽게 뻗을 수 있게 하여 작물의 생육을 좋게 한다.
잡초가 제거되고 땅속에 묻혀서 토양속의 유기물을 공급해주므로 작물의 뿌리가 깊고 넓게 분포하게 되어 생육을 좋게 한다.

* 퇴비, 복합비료, 토양살충제, 붕사는 토양처리후 두둑만들고 멀칭하기.
이때 퇴비는 7-10일 정도 토양에 뿌려두고 가스를 뺀후 나머지와 잘섞어 밭만들기.

2. 텃 밭디자인 (재식 방법에 따른)

구분  채소종류
 묘종 이식봄배추, 가울배추, 토마토, 가지, 고추, 참외, 딸기, 수박, 옥수수,오이,호박 등 
 직파/묘종 이식 가능배추류, 상추류, 콩, 완두, 비트, 우엉, 잎들깨, 쑥갓, 청경채, 아욱, 강낭콩,    근대, 땅콩, 대파, 쪽파, 부추. 마늘, 양파 등 
확대

3. 온도에 따른 채소 분류

 구분 (생육적온) 온도특성채소종류 
고온성채소 (20-30℃)고온에 강한 채소 가지,고추,박,동아,생강,고구마,부추,동부 
고온에 다소 약한 채소 오이,호박,참외,토마토,우엉,강낭콩,아스파라거스,머위,옥수수 
저온성채소(10-22℃) 내한성 강한채소 배추,양배추,무,순무,시금치,파,완두,딸기 
내한성이 다소 약한 채소 감자,당근,비트,상추,미나리,샐러리,근대,마늘 
 *내한성 : 추위를 잘 견디는 식물의 성질
확대

4. 시기별 텃밭 재배

구분 채소종류 
3월 중순, 하순  완두, 감자, 양파
4월 중순 이후 파종  (정식)  배추류, 시금치, 치커리, 파 (파종류) == 30-40일 수확 가능
4월 하순  강낭콩, 당근, 아욱, 상추, 쑥갓, 봄배추, 파(파종류), 생강
 5월 파종  (정식) 과채류=토마토,가지,고추 등, 고구마, 옥수수, 잎들깨, 상추, 파(파종류)
 6월 고구마, 파(정식), 상추류 / 콩류-서리태.팥.두부콩
 7~8월당근, 비트, 배추류, 치커리, 여름 상추 등..
 8월 하순 쑥갓, 쪽파, 김장채소, 상추 등…
 9~10월 엽채류, 쪽파, 아욱, 김장채소, 상추, 마늘, 양파, 시금치 등…
 4~10월 엇갈이 배추, 열무, 근대 (봄부터 가을까지 언제든지 30일이면 수확가능)
확대

5. 파종 및 묘종 심는 깊이

*씨앗은 씨앗 크기의 2~4배 정도로 작은 종자는 얕게, 큰종자는 깊게 심어 줍니다. 모종은 얕게 심어야 뿌리활착을 촉진 합니다
*싹틀 때 햇빛이 필요한 채소 : 국화과 채소인 상추, 쑥갓
*싹틀 때 햇빛을 싫어하는 채소 : 가지과 작물인 가지, 고추, 토마토, 오이과 작물인 오이, 호박, 수박 등
*그 외 일반작물 : 햇빛에 관계없이 종자 크기에 따라 알맞게 덮는다.

6. 씨앗 뿌린 이후 관리

물주기 : 한번 물을 줄때 토양이 흠뻑 젖게 물을 주고 토양을 말리고 주고 말리고 주고하기. 

햇빛이 나서 동화작용을 하려면 식물체내에 수분 함량이 90%이상일 때가 가장 좋다고는 하나 씨앗을 뿌리고 발아하여 뿌리를 잡을때까지는 너무 자주 물을 주면 조금이라도 깊게 심은 씨앗들은 썩을수 있고, 뿌리가 상해서 시들어 죽을 수 있다.
 솎음작업 : 식물의 떡잎이 서로 겹쳐서 웃자라면 연약하게 되어 좋은 묘가 될 수 없다. 이때 몇 차례 나누어 솎음작업을 한다
 1차 솎음 싹이 난 후 떡잎이 겹쳐서 웃자라지 않는지 살펴서 솎아 준다.
 2차 솎음 본엽(새잎)이 2-3매 나왔을 때 다시 겹쳐서 웃자라지 않는지 확인하여 솎아준다.
 3차 솎음 본엽이 5매 내외 나왔을때 작물의 알맞은 거리를 고려하여 솎아 준다
확대

7. 채소 가꾸기 필수 요소

텃밭은 햇빛과 온도는 거의 조절 할 수가 없고, 수분은 어느 정도 조절이 가능하고 양분도 마음대로 조절이 가능하기 때문에 양분조절이 무엇보다 중요 합니다.

식물에는 16가지의 원소가 필요한데, 이것을 필수 원소라고 합니다. 이 중에서 탄소와 수소, 산소는 보충을 하지 않아도 대기와 물에서 얻을 수 있습니다.

3가지를 제외한 나머지 13개 원소 중에서 작물이 많이 필요로 하는 다량원소라 하고, 미량이지만 없어서는 안되는 원소를 미량원소라고 합니다.

다량원소 중에서는 질소,인산,가리(칼륨)가 중요하고, 작물에 딸라 필요한 양이 다르므로 균형 있게 시비하여 야 합니다, 칼슘 ,철, 염소, 망간 등은 작물이 생육하는데 중요한 역할을 하기 때문에 소량이지만 반드시 필요하고 부족한 결핍증을 나타내고 과하면 생리장애를 보입니다.

8.  웃거름 주기

작물의 생육기간이 경과함에 따라 흙속의 양분이 용탈되어 비료 성분이 고갈되어 갈 때 전체 주는 양의 50% 내외로 생육상태에 따라 추가로 웃거름(추비)을 준다.

속효성 거름으로 작물의 생육에 따라 15-20주기로 사용

9. 북주기

골 사이에 있는 흙으로 작물 포기 주위에 두둑하게 모아 덮어 주는것을 말 한다. 주로 뿌리 채소에 필요.

 제외무, 고구마, 열무 등은 하지 않는다. 
 당근 노출된 뿌리가 햇빛을 받으면 푸르게 됨
 감자 감자 밑이 잘 들게 하고, 물빠 짐을 좋게 하고, 햇및을 차단하여 녹색으로 변하지 않아 인체에 해로운 솔라닌 함유를 예방 할 수 있다.
 파 하얗게 연백 부분이 많아 져서 상품가치가 올라간다. 생육초기에 하면 파 줄기가 가늘어 져서 생육후기에 하는것이 좋다.
 토란 분화가 억제되어 비대생장이 촉진되어 토실토실한 큰 토란이 된다.
확대